<뇌의식의 우주> 역자후기와 짤막한 소고
지난 5월 <뇌의식의 우주> 번역을 마치고 오늘 역자후기를 탈고했다. 제럴드 에델만과 줄리오 토노니가 2000년에 쓴 이 책은 신경 다윈주의로 일컬어지는 에델만의 이론이 토노니의 IIT에 어떠한 영향을 줬는지, 둘이 어떻게 하나의 뿌리를 공유하는지를 보여주는 흥미로운 책이었다. 의식의 특성으로부터 거꾸로 그것을 가능케 하는 생물학적 시스템을 파고들어가는 발상의 전환이 너무도 흥미롭다. 열심히 쓴 글인지라... 블로그에도 역자후기 중 일부를 공개하려 한다. 역자후기 세상에는 수많은 학문이 있다 . 각 학문은 질문이라는 ‘ 티끌 ’ 이 무수히 모여 만들어진 하나의 별과 같다 . 지구 표면 아래 외핵과 내핵이 있듯 각 학문에도 핵이 있다 . 핵심에 가까운 질문일수록 더 ‘ 뜨겁고 ’ 본질적이며 난해하다 . 칸트는 < 순수이성비판 > 에서 철학의 핵심 질문으로 다음 세 가지를 꼽았다 . “ 내가 알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What can I know?) 나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What should I do?) 내가 소망해도 되는 것은 무엇인가 ?(What may I hope?)” 이 세 물음은 결국 단 하나의 질문으로 소급된다 . “ 인간 정신 , 즉 의식의 정체는 무엇인가 ?” 대부분의 자연과학은 물리 세계의 본질을 탐구한다 . 가령 물리학은 물질이 무엇인가를 , 화학은 물질이 서로 어떻게 상호작용하는가를 , 생물학은 생명이란 무엇인가를 그 핵심 질문으로 삼고 있다 . 하지만 신경과학은 조금 다르다 . 일견 신경과학은 ‘ 뇌는 어떻게 작동하는가 ’ 를 객관적으로 탐구하는 학문인 것처럼 보인다 . ( 물론 그것이 사실이기는 하다 .) 하지만 신경과학은 모든 연구의 기저에 명시적으로든 암묵적으로든 늘 인간 의식에 대한 통찰을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서 다른 자연과학 분과들과 다르다 . 감각 , 기억 , 의사결정 등의 고차 기능을 연구할 경우 이는 자명하다 . 실제로 지난 수십년 간 교육학 , 마케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