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취의 두 가지 원리
지난주 논문스터디에서 정말 재밌는 논문을 읽었다. 2020년 2월 Cell지에 실린 논문인데 Suzuki, M., & Larkum, M. E. (2020). General Anesthesia Decouples Cortical Pyramidal Neurons. Cell, 180(4), 666-676.e13. 저자가 고작 2명.... 경악. 저자들은 2017년에 microPeriscope 라는 기술을 개발했다. (2017 Nat Comm) 그것인즉슨, 잠망경처럼 거울로 레이저를 90도로 꺾어 특정 피질층만 자극하는 기법이다. (정말 얼마나 정교한가는 둘째 문제겠지만) 이걸 이용해 3년간 연구한 결과물이 이번 논문인 듯. 대부분의 피질은 5~6층으로 이루어져 있고, 세로로 피질을 관통하는 pyramidal neuron이 존재한다. 저자들은 쥐의 체감각피질의 Layer 1의 dendrite를 레이저를 쏘아서 자극하고 L5에 존재하는 soma에서 포텐셜을 측정했다. 정상 상태에서는 빛 자극이 세포체의 탈분극을 유도했지만, 마취제를 투여하면 dendrite의 신호가 soma에 전달되지 않았다. 즉 마취상황에서는 dendrite와 soma의 coupling이 끊어진다는 것. information flow가 차단된다는 것. 특히 재미있는 것은 이것이 마취제의 종류와 상관없이 일어났다는 점이다. 사실 제각기 다른 마취제가 어떻게 같은 기작을 일으킬 수 있느냐가 미스터리 중 하나인데, 현상학적으로는 모든 마취제에 대해서 이런 decoupling이 일어나니 이것이 마취제의 common target이 아니겠느냐는 것이 저자들의 주장이었다. dendrite에 가해진 신호는 약 L3~L4에서부터 사라지는데, 도대체 어떤 채널이 문제가 되길래 이런 일이 일어나는지 보았고, dendrite상의 mAchR이나 mGluR을 막거나, 관련 시상핵인 POm을 deactivate하면 dendrite-soma decoupl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