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식은 양막류에서 시작되었나?
이 글은 다음 논문에 관한 요약 및 리뷰이다. Grinde, Bjørn, "Did consciousness first evolve in the amniotes?", Psychology of Consciousness: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Vol 5(3), Sep 2018, 239-257 의식은 계통학적으로 언제 발생했는가? 이 질문은 동물 의식을 둘러싼 핵심 논쟁 중 하나이다. 의식의 근간인 신경계는 약 6억 년 전에 군체가 다세포생물로 진화하면서 함께 등장했다. 이 단계에서는 아주 낮은 복잡도의 반사운동 정도의 기능만 수행했으나, 신경세포의 수가 올라가면서 점차 정교한 조절이 가능해졌다. 발달된 신경세포로 (1) 더 많은 경험을 저장하고 (2) 이 정보를 이용해서 생존에 적합한 선택을 찾아낼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의식이 만능 도구냐 하면 그렇지도 않다. 의식 역시 특정 상황에서 행동을 돕기 위해 진화된 뇌의 기능이며, 특히 많은 요소를 고려해야 하는 복잡한 상황에서 기능하는 것 같다. 심장박동이나 소화처럼 결코 의식의 통제영역에 닿지 않는 행동도 있는 것이다. 오히려 저자는 의식의 한계를 다음과 같이 지적한다. 에너지 소모가 크다 느리다 한 번에 한 정보만 처리할 수 있다. 실행이 아닌 의사결정을 위해 진화했다. (예컨대, 의식을 하면 춤이 더 엉킨다) 진화적 목적에 부합하는 내용만 알아차리거나 느낄 수 있다. 유전자 입장에서는 개체의 행동이 매우 다양해지므로 위험하다. (ex. 인간의 경우, 자살하거나 번식을 하지 않거나...) 그렇다면 동물에 의식이 존재하는지는 어떻게 판단하는가? 사람의 경우 - 말이나 행동을 평가하면 알 수 있다. (→ 감금 증후군이나, 좀비 문제 등이 발생하겠지만.) 동물의 경우 - 말을 할 수 없으므로, 행동에서 단서를 찾아야 한다. 온도계가 내장된 에어컨조차 방 안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듯이, 환...